곽원 (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곽원(생몰년 미상)은 후한 말기의 인물로, 원소 사후 원상의 부하가 되어 하동태수를 지냈다. 202년 조조의 공격에 맞서 고간, 호주천과 함께 하동을 공격했으나, 가규의 계략에 휘말리고 관중 군과의 전투에서 방덕에게 참수당했다. 종요의 외조카였으며, 가규를 부하로 삼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년 사망 - 원소 (후한)
원소는 후한 말 군벌로, 명문가 출신으로 반동탁 연합군의 맹주였으나 조조와의 관도 대전에서 패배하여 세력이 몰락했다. - 202년 사망 - 이레네오
이레네오는 2세기 후반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영지주의를 비판하고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이단 반박》을 통해 정통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고 신약성경 정경 확립과 구원사에 대한 독자적인 신학적 관점을 제시하여 초대 교회 신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원성
원성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4대 삼공을 배출한 명문가 출신이며, 좌중랑장을 지냈고, 강직한 성품과 뛰어난 언변으로 명성이 높았다. - 전사한 사람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전사한 사람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곽원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곽원 |
본관 | 태원군 양곡현 |
생몰년 | ? ~ 202년 |
사인 | 전사 |
소속 세력 | 원상 |
관직 | |
임관 | 하동태수 |
최후 관직 | 하동태수 |
가족 관계 | |
친척 | 종요 (외종) |
사망 관련 정보 | |
사망 장소 | 산서성 임분시 |
2. 생애
원상을 섬겼다.
202년 조조가 원소 사후 하북을 공격하자, 원상은 곽원을 하동태수로 임명하여 하동을 공격하게 했다. 이때 고간과 남흉노 선우 난제호주천에게 곽원을 돕게 하고, 서량의 마등과도 연합하였다.
곽원은 조조가 차지한 군현을 점령하고 하동을 포위했다. 하동 백성들은 가규(賈逵)를 해치지 않으면 항복하겠다고 했고, 곽원은 이를 받아들여 하동에 입성했다. 곽원은 가규를 부하로 삼으려 했으나 가규가 거부하자 죽이려 했다. 그러나 백성들이 반발하여 죽이지 못하고 토굴 속에 가두었다.
종요는 장기를 보내 마등을 설득, 원상 대신 조조와 연합하게 하였다. 마등은 마초와 방덕에게 1만 군사를 주고 종요를 도와 곽원을 공격하게 했다. 곽원은 서량군이 조조군에 가담했음에도 불구, 황하의 지류인 분수(汾水)를 건너 진격하려 했다.
부하들이 반대했으나 고집을 꺾지 않고 강을 건너던 중, 종요가 이끄는 조조군의 공격을 받아 크게 패하였고, 방덕과 싸우다가 전사했다. 방덕은 자신이 죽인 사람이 곽원인 줄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진영에 돌아와 곽원의 수급을 바쳤다. 곽원의 머리를 본 종요는 크게 통곡하며 슬퍼하였다.[1]
2. 1. 원상의 부하
202년, 조조가 원소 사후 하북을 대대적으로 공격하자, 원상은 곽원을 하동태수로 임명하여 하동을 공격하게 했다. 이때 고간과 남흉노 선우 난제호주천에게 곽원을 돕게 하고, 서량의 마등과도 연합하였다.곽원은 조조가 차지한 군현을 점령하고 하동을 포위했다. 하동 백성들은 가규(賈逵)를 해치지 않으면 항복하겠다고 했고, 곽원은 이를 받아들여 하동에 입성했다. 곽원은 가규를 부하로 삼으려 했으나 가규가 거부하자 죽이려 했다. 그러나 백성들이 반발하여 죽이지 못하고 토굴 속에 가두었다.[1]
곽원은 종요의 외조카였다. 같은 해, 조조가 여양 전투에서 원상과 원담을 공격했을 때, 원상은 고간, 곽원, 호주천에게 군대를 이끌고 하동군(河東郡; 현재 산시성하현 일대)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가규는 공격에 대항할 수 없었고, 하동군 백성들은 곽원이 가규를 해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항복을 제안했다. 곽원은 이에 동의하고 하동군을 점령했고, 원상은 그를 군의 태수(太守)로 임명했다. 가규가 곽원에게 항복을 거부하자 곽원은 그를 죽이려 했지만, 하동군 백성들이 가규의 탈출을 도왔다.[1]
마등은 종요의 요청에 따라 아들 마초와 장수 방덕을 보내 종요를 도와 곽원과 고간을 평양현(平陽縣; 현재 산시성린펀 서쪽)에서 공격하게 했다. 방덕은 전투 중에 곽원을 죽이고 그의 머리를 베었지만, 자신이 죽인 사람이 곽원인 줄은 몰랐다. 종요는 곽원의 머리를 알아보고 울었는데, 곽원이 그의 외조카였기 때문이다. 방덕은 종요에게 사과했고, 종요는 "곽원이 비록 내 조카이긴 하나, 국가의 적이었다. 어째서 사과하는가?"라고 답했다.[1]
원상이 조조의 후방을 위협하기 위해, 흉노 선우 호주천에게 평양에서 반란을 일으키게 하고, 곽원과 고간에게 수만 명의 군세를 주어 침공하게 했을때, 마등도 조조를 배신하고 원담 등과 내통하려 했다. 그러나, 종요는 곽원의 약점을 분석하고, 장기와 부간에게 마등을 설득하여 아군으로 되돌렸다. 마등은 마초와 방덕에게 병사 1만여 명을 맡겨 종요의 원군으로 파견했다.[1]
곽원은 평양성을 목표로 진군하는 도중에, 강읍 이외의 모든 성을 항복시켰다. 그러나, 강읍 현장 가규만이 농성하며 저항했다. 곽원이 호주천을 불러 공격하게 하자, 강의 원로들은 가규를 살해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항복을 요청했다. 곽원은 가규를 장군으로 등용하려 하였으나, 가규가 "적에게 꿇어앉는 국가의 관리가 어디 있겠는가"라고 호통치자, 곽원도 분노하여 가규를 죽이려 했다. 그러나, 강의 관리와 백성들이 "약속을 어기면 함께 죽을 뿐이다"라고 외친 데다가, 곽원의 측근들 중 많은 이들도 가규를 의사(義士)라고 칭하며 처형을 면하게 해달라고 청원했기에 중단했다. 가규는 피씨가 하동군의 요충지이며, 먼저 점령하는 쪽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곽원에게 포위당하자 군으로 몰래 사자를 보내 "급히 피씨를 점령해야 한다"고 알렸다. 곽원은 강읍을 함락시키고 피씨로 진군하려 했지만, 가규가 계략을 사용하여 곽원의 참모인 축오를 혼란시켜 7일 동안 발이 묶였다. 하동군의 군세는 가규의 말에 따라 먼저 피씨를 점령했기에, 패배를 면했다.[1]
그 후, 종요・마초・방덕의 관중 군과 곽원・고간의 병주 군은 평양에서 충돌했다. 곽원은 종요의 예상대로 관중 연합을 경시하고, 병주 연합 제장들의 간언을 무시하고 도하하려 했다. 이 때문에 병주 연합군은 절반밖에 건너지 못한 채 관중 연합군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곽원은 난전 속에서 마초에게 부상을 입혔지만, 방덕에게 참수당했다. 또한 고간과 호주천은 항복했다. 방덕이 곽원의 수급을 꺼내자, 종요가 통곡했고 방덕은 사죄했다. 종요는 "곽원은 나의 조카이긴 하나 국적(国賊)입니다. 귀공이 사과할 필요는 없습니다"라고 답했다(『위략』).[1]
2. 2. 죽음
종요의 군대에 맞서 싸우다 크게 패하고, 방덕과 싸우다가 전사했다.[1] 방덕은 자신이 죽인 사람이 곽원인 줄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진영에 돌아와 곽원의 수급을 바쳤다. 곽원의 머리를 본 종요는 크게 통곡하며 슬퍼했다.[1]방덕은 선봉에서 곽원을 죽이고 그의 머리를 베었지만, 자신이 죽인 사람이 곽원인 줄은 몰랐다. 전투 후, 종요의 부하들이 전장을 수색하다 곽원의 머리 없는 시신을 발견했다. 얼마 후, 방덕은 종요에게 곽원의 머리를 바쳤다. 종요는 곽원의 머리를 알아보고 슬피 울었는데, 곽원이 그의 외조카였기 때문이다. 방덕은 종요에게 즉시 사과했고, 종요는 "곽원이 비록 내 조카이긴 하나, 국가의 적이었다. 어째서 사과하는가?"라고 답했다.[1]
3. 곽원의 친족 관계
郭援|곽원중국어의 친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종요는 곽원이 조카이긴 하나 국적(國賊)이라며, 곽원을 죽인 방덕에게 사과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